안녕하세요 소한맘입니다 :)
산후조리원은 한국에만 있는 시설이라고 하지요?
그렇다보니 산후조리원 이용에 대한 다양한 갑론을박이 존재합니다.
산모와 신생아를 케어해주는 공간이면서,
아무래도 큰 비용이 들다보니 신중하고 꼼꼼히 선택해야합니다.
1. 산후조리원 선택하기
산후조리원이란 출산 후 여성의 산후조리, 요양을 위한 시설입니다.
신생아도 함께 케어를 해주는 곳이지요.
산후조리원 선택 기준은 정말 다양합니다.
모든 것이 만족스러운 조리원일수록 가격이 올라갈 수 밖에 없지요..!
신생아 케어, 산모 케어, 조리원 환경 등으로 카테고리를 나누어서
본인과 아이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잘 결정해서 신중하게 선택하는게 필요할 것입니다.
1) 신생아 케어: 신생아실 간호사 1명당 신생아 케어 인원, 소아과 의사 회진 횟수, 신생아캠 설치 여부
2) 산모 케어: 식사 퀄리티, 마사지, 모유수유 도움 여부, 산모를 위한 다양한 활동
3) 환경: 룸 컨디션(창과 채광 여부, 제왕산모일 경우 모션베드, 자분산모일 경우 좌욕기)
공용시설 컨디션(공용 공간에 있는 마사지 기계 여부)
4) 기타: 병원과 집과의 거리, 첫째 동반 가능여부, 가격 등
대략 이정도 카테고리로 산후조리원을 선택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2. 산후조리원 비용 및 기간
산후조리원의 비용은 지역별, 위치, 시설별로 천차만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서울은 2주 기준으로 300만원~400만원대의 조리원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제가 출산했던 미래와희망 산부인과의 연계 조리원은 600만원 이상이었습니다.
저는 서래마을 네송스 조리원을 이용하였습니다. 2주 기준 400만원 초반입니다.
그리고 2주 뿐 아니라 1주, 10일, 심지어 3주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마사지 가격은 서비스마사지(보통 산전 1회, 산후 1회) 제외하고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니 별도 결제를 해야하는 부분입니다.
당일 상담했을 시 예약하면 할인 혜택을 주는 곳도 있고,
맘카페나 지인과 동반예약하면 할인하는 이벤트를 하는 곳도 있습니다.
3. 산후조리원에서 정부지원금 이용하기
서울시는 2023년부터 태어나는 모든 아이들에게 1인당 200만원의
'첫만남이용권' 바우처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출생아동 보호자의 '국민행복카드'로 바로 지급이 됩니다.
첫만남이용권은 산후조리원,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첫만남바우처 사용기간은 출생일로부터 1년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저희는 출생신고를 하며 주민센터에서 안내받아 바로 신청을 했는데,
온라인 '복지로(www.bokjiro.go.kr) ' 또는 '정부24(www.gov.kr) '에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저도 조리원에 결제 전 바우처로 이용하겠다고 말하여,
200만원은 국민행복카드로 바우처 결제, 나머지 차액은 따로 결제하였습니다.
2019년생인 첫째때는 없던 혜택이네요 :)
4. 연말정산 혜택
2024년 세법이 개정되면서 소득에 관계없이 모든 근로자가
산후조리원비 세액공제 신청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모든 근로자는 최대 200만원까지 산후조리원 비용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산후조리원에서 연말정산용 영수증을 받고, 추후 연말정산 시 제출하면 됩니다.
산후조리원 세액공제 관련 너무 잘 정리된 블로그 포스팅이 있어 소개합니다 :)
@돈버는 신수
https://blog.naver.com/shystage/223363945572
5. 마치며
이상 산후조리원의 선택기준, 비용 및 기간, 정부지원금, 연말정산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산후조리원을 선택하실 때 신중하고 꼼꼼하게 선택하시고,
다양한 혜택 활용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